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은 불편쯤 이겨내야 성장할수 있다

by 먼지구름 2024. 11. 12.


오늘은 성장한다는 것에 대한
제 생각을 포스팅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성장하지 않는 것을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성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은 물론
겉으로는 그렇지 않아 보이는 사람도
속으로는 매일 매순간 성장을
하고 싶어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성장이라는 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라는 말이 사람들에게 공감받는 이유는
실제로 성장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성장할 수 있을까요?


우선 제가 생각하는 성장이란
'지금까지 해왔던 것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내가 어떤 대상에 대해
우위의 위치를 점하는 것'이 성장입니다.
여기서의 어떤 대상이란 내가 이루고
싶은 것이나 성취하고 싶은 것을 말합니다.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생각들과 행동들을
하나의 '원'이라고 생각했을 때, 성장이란
이 점에서 벗어나 바깥으로 나가는 것입니다.
이런 패턴을 반복하면서 자신이라는 
'원'의 면적을 넓히는 것이 성장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자신의 '원'에서 벗어나는
것을 너무 어려워 하는 것 아닐까요?
 

예를 들면, 집중하면 좋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지만, 그렇게 하려면
현재 집중하고 있지 않은 모습에서
벗어나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도전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당연히 알고 있지만, 그렇게 하려면
현재 도전하지 않는 자신의 모습에서
벗어나 바깥 세상으로 나가야 합니다. 
 
 
이처럼 나라는 '원'에서 벗어나 성장의
방향으로 가려면 불편함이 따릅니다.
그래서 될 수 있으면 성장하기보다는
머물기를 선택합니다. 어제와 같은
생각과 행동을 반복하면서 말이죠.
 

하지만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노력에 비해 성장과 발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면,
원하는 것을 이루거나 갖고 싶은
것을 성취하기 위한 행위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낮은 위치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낮은 위치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이란
어떤 대상에 대해 정신적으로 두려워하며
실행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그 일을 할 수 있을까?
내가 그렇게 될 수 있을까?
내가 그것을 가질 자격이 있을까?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대상에 비해
자신을 낮은 위치에 두고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할 때,
우리는 자신이 마주하는 대상에 대해
두려움을 갖게 됩니다. 자신에 대한
믿음을 토대로 두려움을 이겨내고 자신의
'원'을 넓혀나가며 과거에는 두려워했던
대상들이 더 이상 두렵지 않고
해볼만 하다는 마음이 생길 때
우리는 성장했다고 할 수 있겠죠.
 
 
불편하더라도 정면을 응시하며 마주할 때
그리고 불편함에 조금씩 익숙해지며
불편함을 견딜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날 때
우리는 어떤 대상에 대해 점차 우위에
있다는 자신만의 믿음이 생겨나고
그 믿음을 바탕으로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금껏 불편하거나 두려워했던 마음으로 인해
시도하기를 꺼려했던 어떤 대상이 있다면
비록 서툴더라도 그 대상에 당당히 맞서며
자신을 성장시켜보면 어떨까요?